애드센스 한국 공식 블로그 - Inside AdSense
애드센스 제품 업데이트 소식, 정책 관련 소식 등 유용한 최신 정보를 블로그를 통해 만나보세요.
한국 블로그 사용자들이 꼭 확인해야 할 정책 체크리스트
2013/03/27
최근 애드센스 정책에 대한 블로그 사용자 분들의 문의가 많아짐에 따라 애드센스 한국팀에서는 한국 블로그 사용자 분들이 꼭 알아야 할 정책들을 모아 정리했습니다. 만약 정책 위반 경고 메일을 받고도 어떻게 수정해야 할지 몰라 고민이셨거나 운영 중인 블로그가 애드센스 정책 위반에 해당되는지 궁금하셨다면 아래의 한국 블로그 사용자 분들이 꼭 알아야 할 3가지 정책 가이드와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사용자들의 부자연스러운 시선 끌지 않기
애드센스 정책팀은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하도록 유도하거나 일부러 시선을 끌도록 광고를 배치하는 것을 정책 위반으로 간주합니다. 특히
웹사이트의 첫 화면
에서 충분한 콘텐츠 없이 광고의 비중이 지나치게 큰 경우, 콘텐츠가 화면 아래 부분으로 밀려나면서 콘텐츠와 광고의 구별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광고를 클릭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의 첫 화면에 충분한 양의 콘텐츠가 보이도록 배치하시기 바랍니다.
웹사이트 상단에 큰 사이즈의 광고 단위를 배치하고 그 주변에 더 큰 박스 테두리를 두신 분들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큰 박스 테두리를 배치하시는 것은 콘텐츠와 광고를 구분하여 강조할 수는 있지만, 사용자의 부자연스러운 시선을 끌어 클릭을 유도하기 때문에 애드센스 정책에 위반됩니다. 여러분의 웹사이트 레이아웃을 사용자들의 부자연스러운 시선을 끌지 않도록 수정해 주시고, 웹사이트의 첫 화면에는 사용자들이 게시물 제목과 관련해서 보길 원하는 충분한 양의 콘텐츠를 두시기 바랍니다.
2. 클릭이 일어나는 곳 가까이에 광고를 배치하지 않기
종종 플래시 게임 또는 다운로드 링크 아주 가까이에 광고를 배치하시는 분들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치는 사용자들이 의도치 않게 광고를 클릭하도록 만들어 무효 클릭을 발생 시킬 수 있습니다. 구글은 의도적으로 광고주의 비용 또는 게시자의 수익을 늘리기 위한 활동으로부터 광고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해서
광고에서 발생한 클릭과 노출을 모니터링
하고 있습니다. 무효 활동으로 인한 수익은 월말에 차감될 뿐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계정이 중지되고 해당 수익은 광고주에게 돌아갑니다. 따라서 광고 단위를 플레이 버튼이나 다운로드 링크, 플래시 게임 플레이어 등 클릭이 일어나는 곳과 적정한 거리를 두어 배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플레이 버튼이나 링크 등은 클릭이 가능해야 하며, 사용자의 눈에 잘 띄는 곳에 광고와 명확히 구분되도록 배치하시기 바랍니다. 플레이 버튼이나 링크의 클릭이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들이 플레이를 시도하거나 페이지를 이동하기 위해서 광고를 클릭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밖에 의도하지 않은 클릭을 방지할 수 있는 광고 구현 방법을 보시려면 다음
블로그 포스트
를 참조하세요.
3. 타인의 콘텐츠를 이용해 광고 수익 창출하지 않기
애드센스는 여러분이 수익 걱정 없이 양질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데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양질의 콘텐츠를 풍부하게 제공해 주실수록 건전한 사용자들을 유치할 수 있고, 이는 더 큰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다른 사이트에서 콘텐츠를 무단으로 복사하거나 허가 또는 적절한 법적 권한 없이 다른 출판물의 콘텐츠를 재구성하여 옮기는 것은 애드센스 정책 상 허용되지 않습니다. 타인의 콘텐츠를 이용해 수익을 올리는 행위는 애드센스 프로그램 정책에 따라 명백한 위반으로 간주됩니다.
금지된 콘텐츠 알아보기
도움말을 참고하시고, 여러분이 직접 생산한 콘텐츠 뿐 아니라
사용자 제작 콘텐츠
를 포함한 애드센스 광고가 게재되는 모든 페이지의 콘텐츠가 애드센스 프로그램 정책을 준수하도록 할 책임이 있음을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애드센스 정책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안정적인 애드센스 운영은 물론, 여러분의 웹사이트에서 정책 위반이 발생한 경우에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시 한 번 아래의 체크리스트에 따라 귀하의 웹사이트가 애드센스 정책을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웹페이지를 띄웠을 때, 첫 화면에 충분한 콘텐츠가 있고 광고가 콘텐츠를 아래로 밀어내는 등 부자연스러운 시선을 끌지 않는다.
플래시 버튼 또는 다운로드 링크와 광고와의 간격이 적절하여 사용자가 클릭하는 데 혼동이 없다.
다른 사람의 콘텐츠를 복사하거나 재구성하여 게시하지 않았다.
이 정책 가이드가 한국 블로그 사용자 여러분께 많은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애드센스 도움말 센터에 가셔서
광고 게재위치 정책 전문
을 함께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게시자: 장진아, 애드센스 파트너 지원팀
Part I 실수클릭 방지하기: 적당한 거리 유지하기
2010/11/08
무효클릭
을 일으키기 쉬운 광고 게재위치에 대해서는 많이들 알고 계시죠? 게시자분들이 잘 아시다시피 메뉴바나 클릭이 많이 이뤄지는 곳에 위치한 광고가 그렇습니다.
무효클릭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은 사용자, 광고주, 게시자분들 모두에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사용자들은 실수로 광고를 클릭하여 여러분의 사이트에서 벗어나 다른 페이지로 가는 것을 원치 않습니다. 광고주도 또한 실수로 사용자가 클릭한 행위에 대해 과금이 되는 것을 원치 않습니다 (물론 구글은
모니터링을 통해 찾아낸 무효클릭
에 대해서는 과금하지 않습니다)
오늘은 플래시 기반의 게임사이트에 대해서 말씀드릴까 합니다. 게임을 하다 보면, 종종 플래시 게임화면의 아주 가까이에 광고가 게재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게시자분들은 사용자들이 주목하는 위치에 광고를 배치함으로써 광고주에게 최대의 효과를 가져다 준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플래시 게임들이 마우스를 사용한 빠른 움직임과 클릭을 일으킵니다. 그런 움직임과 클릭이 많이 일어나는 곳에 광고가 배치되어 있으면, 사용자들이 실수로 광고를 클릭하는 경우가 많이 일어납니다.
게임사이트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일괄적인 광고와 게임 사이의 거리는 없지만, 플래시 플레이어와 광고 사이에 최소한 150 픽셀 정도의 거리를 유지해 주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이미 몇몇 게시자분들과 이런 노력을 실천에 옮겨왔고, 플래시 플레이이어와 광고 간의 적당한 거리 유지를 통해 장기적으로 평균적인 CPC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원인은 바로
스마트 가격 정책
에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게시자분의 수입은 애드워즈 광고주들이 구글 광고에 지불하는 클릭당 비용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광고주가 지불하는 비용은 전환 정도에 따라 광고별로 또 사이트별로 달라집니다. 만약 사이트에서 일어나는 클릭이 광고주가 기대하는 효과 (예. 온라인 세일즈, 등록)를 일으키지 못한다고 판단될 경우, 광고주들이 지불하는 클릭당 단가는 떨어지게 됩니다.
요약하자면, 플래시 게임과 광고 사이에 적당한 거리를 유지 하는 것이 실수 클릭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광고주들이 기대하는 효과로 이어지는 클릭을 증가 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는 모두에게 유익한 일인 것입니다.
작성자: 애드센스 정책팀 댄 질릭(Dan Zilic)
카테고리 별
기타
10주년 기획
게임용 애드센스
게재위치
계정 업데이트
고객지원 프로그램
광고 검토
광고 미리보기
광고 심사 센터
광고 입찰 방식
광고 허용 및 차단
구글
구글 플러스
구글신제품
구글애드센스
국가 보고서
국제
근하신년
금요 소셜 소식
기타
네이티브
네이티브 광고
동영상
링크 단위
맞춤 검색 엔진
맞춤채널
멀티스크린 전략
모바일
무효클릭
문의하기
박스
브랜드 캠페인
블로그
비즈니스 동향
사례연구
새 인터페이스
새해복많이받으세요
새해인사
설문조사
성공 사례
성공사례
소셜 미디어
수신 설정
수익화
수입/보고서
스마트 가격 정책
실적 보고서
애드센스
애드센스 계정
애드센스 기능
애드센스 성공사례
애드센스 정책
애드센스 행사
애드센스 Office Hour
애애드센스 기능
연락처 정보
온라인 게임
온라인광고시장
월드컵
월요 모바일 소식
웹 엘레멘트
웹로그 분석
웹마스터 가이드라인
이메일 수신
이벤트 보고서
이벤트 추적
이용약관
이용약관 변경
인피드 광고
일치하는 콘텐츠 광고
자동광고
전자상거래
정책
정책의 달
지급
진실과 오해
최적화
추천사항
콘텐츠 내 자동삽입 광고
콘텐츠 호스팅용 애드센스
크롤링
퍼블리셔
프로그램 정책
프프로그램 정책
플래시 게임
A/B 테스트
AdSense
AFG
DFP
dinos
e-commerce
Go Multi-Screen
Goodbye2018
Google
Google 애드센스
Google AdSense
Google plus
Google+
Hello2019
pubtalk
seo
YouTube
YouTube 웹로그 분석
지난 기사 목록
2019
1월
2018
10월
9월
2015
8월
5월
4월
3월
2월
2014
12월
11월
10월
9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3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2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1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0
12월
11월
10월
9월
6월
5월
3월
2월
1월
2009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4월
3월
2월
1월
2008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07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Feed
유용한 링크
Get started with AdSense
Sign in to your account
AdSense Help Center
AdSense Help Forum
유용한 링크
제품 포럼
에 대한 여러분의 피드백을 주세요.
제품 포럼
에 대한 여러분의 피드백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