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 한국 공식 블로그 - Inside AdSense
애드센스 제품 업데이트 소식, 정책 관련 소식 등 유용한 최신 정보를 블로그를 통해 만나보세요.
광고 차단 2부: 원치 않는 광고 차단
2012/08/16
즐거운 목요일이 되시기 바라며, 광고 차단 시리즈 2부를 기다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광고 차단 시리즈 1부
에서는 광고를 차단하는 다양한 이유와 광고 차단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를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사이트에서 허용하지 않으려는 광고를 차단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게재하지 않으려는 광고를 파악하고 나면 광고주 URL, 일반 또는 민감한 카테고리(
일부 언어로만 제공
), 광고 네트워크, 개별 광고 등을 통해 해당 광고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원치 않는 광고를 차단하는 것과 관련된 일반적인 오해를 더 풀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해: 내 계정의 '광고 허용 및 차단' 탭에서만 광고를 차단할 수 있다.
애드센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고를 차단하는 것 외에도
Google 게시자 툴바
를 설치하여 Chrome 브라우저에서 페이지를 보면서 광고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게시자 툴바는 애드센스 계정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보여주고, 수입 및 실적 개요를 제공하며, 페이지 내 보고서가 포함된 광고 오버레이를 제공하는 Chrome 확장 프로그램입니다. 이 신규 Chrome 확장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애드센스 공식 블로그
게시물을 참조하세요.
오해: 이미지 또는 리치 미디어 광고의 경우, 도착 URL을 알아내려면 광고를 클릭해서 애드센스 정책을 위반할 수 밖에 없다.
게시자는 차단할 URL을 찾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hrome을 사용하는 경우, 앞서 말씀 드린
게시자 툴바 확장 프로그램
을 설치합니다. 이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사이트에서 광고를 확인하면서 차단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계정에서 광고 심사 센터를 사용하도록 선택하면 텍스트, 이미지, 리치 미디어 광고 등 사이트에 게재되는 모든 광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해: 광고 심사 센터의 게재된 광고 탭에는 광고가 하나도 없는데 사이트에는 광고가 게재되고 있다. 따라서 광고 심사 센터가 제 기능을 못 하는 것이다.
광고 심사 센터는 각 광고를 검토한 후 페이지에서의 게재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해 주는 도구입니다. 광고 심사 센터에 있는 광고는 지난 30일 이내에 게재된 것들입니다. 지난 30일 이내에 사이트에 아무 광고도 게재되지 않은 경우, 광고 심사 센터에 광고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또한, 사이트의 트래픽이 매우 적은 경우에도 광고 심사 센터에 광고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광고 심사 센터의 사용 요청을 제출한 후 게재된 광고 탭에 광고가 표시되기까지는 24시간에서 48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공식 블로그의
이전 게시물
에서 새롭게 개선된 광고 심사 센터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읽어 보세요.
본 블로그 게시물로 인해 광고 차단 기능에 대한 오해가 일부 풀렸기를 바랍니다.
게시자: Wesley Houser, 애드센스 공식 블로그 팀
광고 차단 1부: 차단할 것인가, 말 것인가?
2012/08/14
웹사이트를 내가 지배하는 국가라고 생각해 보세요. 사이트에서 무엇을 보여줄지는 내가 결정합니다. 애드센스는 웹사이트에서 광고를 허용 및 차단할 수 있도록 게시자에게 강력한 통제권을 제공합니다. 광고 차단을 계정 최적화의 수단으로 생각하기보다는, 게재되는 광고에 대한 게시자의 만족을 보장하는 방법으로 보아야 합니다. 앞으로 며칠 동안 이곳을 빌려 광고 차단에 대해 게시자들이 갖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오해 중 일부를 풀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해: 사이트에서 광고가 삭제되기만 한다면 얼마나 많은 광고를 차단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광고는 되도록 적게 차단해야 합니다. 모든 광고를 게재하면 사이트에 노출되기 위해 경쟁하는 인벤토리가 많아지므로 광고 입찰 시 경쟁이 극대화됩니다.
그렇지만 광고를 차단하는 것이 합당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광고의 콘텐츠 또는 카테고리(예: 정치, 성 또는 종교)에 민감해서 사이트에 게재하고 싶지 않은 경우입니다.
이미 특정 회사와 직접 광고 계약을 맺었기 때문에 해당 회사의 광고를 차단하고 싶은 경우나,
경쟁업체의 광고를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도 여기에 해당됩니다.
오해: 입찰가가 낮은 광고를 차단하면 수익을 더 올릴 수 있을 것이다.
비록 특정 광고가 수익에 기여하는 비중이 작다고 해도 이 광고를 차단할 경우 더 낮은 수익을 거두는 광고가 게재될 수가 있습니다. Google은 항상 입찰가가 가장 높은 광고를 게재하므로 사이트에 광고가 게재되었다면 해당 광고가 모든 가용 광고 중 실적이 가장 우수하다는 의미입니다.
오해: 일부 광고를 며칠 동안 차단했더니 수입이 늘었다. 이는 곧 차단이 수입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의미이다.
애드센스 계정의 수입은 계속 변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수익은 사이트의 트래픽 변화에서부터 광고주의 입찰가 변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받습니다. 어떤 두 가지 일이 서로 관련 있다고 해서 꼭 인과관계를 이루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주의하세요!
이
도움말 센터
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Google은 콘텐츠와 잠재고객을 기반으로 광고를 타겟팅합니다. 게시자와 사용자가 보는 광고는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예:
관심기반 타겟팅
및
지역 타겟팅
). 또한, 게시자에게는 주제와 관련성이 먼 것으로 보이는 광고가 실제로는 사이트 탐색 당시 사용자에게 가장 가치 있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오해: 충분히 많은 광고를 차단하면 결국에는 내 사이트에 게재되는 광고를 고를 수 있다.
Google 수석 이코노미스트 Hal Varian이
이전 글
에서 밝혔듯이, 입찰에서 선정되는 광고는 사용자에게 우수한 이용 환경을 제공하면서 게시자에게 가장 높은 수익을 가져다줄 것으로 예상되는 광고입니다. 광고주의 지출 비용부터 사용자에 대한 지역 타겟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소가 변화하므로 사이트에 매번 동일한 광고가 게재되지는 않습니다.
광고 차단 시리즈 2부도 기대해 주세요!
게시자: Wesley Houser, 애드센스 공식 블로그 팀
[6월 정책의 달] AdSense에 대한 진실과 오해: 프로그램 정책
2011/05/30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6월 한달 동안 애드센스 정책에 대한 한국 게시자분들의 이해를 높이고,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6월 정책의 달] 블로그 시리즈를 시작합니다. 매주 월요일, 정책 관련 블로그 포스트와 함께 게시자 여러분께서 평상시 궁금하셨던 정책관련 질문을 할 수 있는 포럼 링크를 제공드릴 예정이니, 평상시 궁금하셨던 사항을 이 기회를 통해 적극적으로 알려주세요! 알려주신 내용들은 7월 중순경 한꺼번에 블로그를 통해 답변 드릴 예정입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로 정책 프로그램에 대한 진실과 오해를 규명해 보는 포스트를 준비하였습니다.
오해:
애드센스에서는 무작위로 계정을 선택해 위반 사항 발견 시 해당 계정을 사용중지하고 문제를 경고합니다.
진실: Google은 정해진 가이드라인에 따라 각 계정의 정책 위반을 감시하고 있으며
도움말 센터
에 모든 애드센스 관련 정책이 게시되어 있습니다. Google에서는 광고주와 사용자, 게시자를 위해 Google의 콘텐츠와 검색 네트워크를 보다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투명하고 일관되게 정책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애드센스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은 게시자 계정에 추후 문제가 될 수 있는 사항들을 파악하고 게시자에게 알리는 것도 포함됩니다. 게시자가 알고 지켜야 할 정책이 많은 관계로 심각하지 않은 정책 위반에 대해서는 1차적으로 경고를 전달합니다. 경고를 받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정책 위반 사항이 비교적 경미하여 해결하기 쉬운 사안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광고에 허위로 '오늘의 인기 거래'라는 라벨을 붙이는
허위 라벨링 행위
나 포럼에 성인 콘텐츠가 언급된 스팸이 일부 포함된 경우가 이러한 경고 사례에 해당됩니다. 게시자는 경고를 받은 후 3일 내로 위반 사항을 해결해야 합니다. 이 기간 내에 위반 사항이 해결되지 않으면 해당 사이트의 광고 게재가 중단됩니다.
경고 없이 바로 사이트의 광고 게재가 중단될 수도 있습니다. 성인용 콘텐츠, 저작권 침해, 과도하게 폭력적이고 부적절한 콘텐츠와 같은 심각한 정책 위반 사례의 경우 즉시 광고 게재가 중단됩니다. 이전에 위반한 사항을 다시 위반할 경우에도 광고 게재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팀에서 취할 수 있는 가장 엄중한 조치로 계정을 완전히 중지할 수도 있습니다. 게시자의 전체 네트워크가 정책을 위반하는 사이트로 구성되어 있거나 반복적으로 정책을 위반하는 경우 이러한 조치를 내리게 됩니다. 애드센스 팀으로부터 정책 위반 알림을 받은 경우
도움말 센터
에서 게시자가 해야 할 조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oogle의 광고 트래픽 품질 팀에서 모니터링하는 무효 클릭 행위로 인해 받는 알림은 위에 나온 정책 위반 알림과는 처리 방법이 다릅니다. 무효 클릭은 의도적으로 광고주의 비용 또는 게시자의 수입을 늘리기 위한 클릭 또는 노출을 말하며, 이러한 클릭으로 인해 발생한 비용은 광고주에게 청구되어서는 안된다고 Google에서는 판단합니다. 이
도움말 페이지
에서 무효 클릭 및 노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고, 무효 클릭으로 인해 사용중지된 계정에 관한 FAQ 페이지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으로 이
가이드라인
을 자세히 읽어 정책을 준수하고 애드센스 계정에서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애드센스 정책 팀 Andres Schabelman 작성
[6월 정책의 달] 애드센스 정책에 대해 궁금하신 점을 이곳에 알려주세요!
[AdSense에 대한 진실과 오해] 사용자 제작 콘텐츠 (User-Generated Content)
2011/03/21
오늘은 게시자분께서 쉽게 오해하시는 애드센스 정책 한가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오해:
사용자가 게시자의 사이트 또는 네트워크에 애드센스 정책에 위배되는 콘텐츠를 게시하는 것은 게시자의 책임이 아니다.
진실: 게시자는 포럼의 사용자 게시물, 블로그 댓글 또는 외부 피드 등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비롯한 모든 콘텐츠가 애드센스 광고를 게재하는 모든 페이지 또는 사이트에 해당하는 경우
애드센스 정책
에 부합하도록 할 책임을 지닙니다.
애드센스 네트워크 품질점수는 광고 환경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Google은 애드센스 네트워크의 콘텐츠가 광고주, 사용자 및 게시자 모두에게 안전한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검토합니다. 귀하를 비롯한 모든 Google 게시자들이 Google이 원치 않는 광고를 차단해 줄 것을 기대하듯이, Google 광고주의 경우 광고가 게재되는 콘텐츠를 항상 최상의 환경으로 유지해 줄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가령 유아 의류를 판매하는 업체의 경우 폭력적이거나 성인 콘텐츠에 광고가 게재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것입니다. 정책에 위배되는 콘텐츠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제시드리기 위해 Google 도움말 센터에
애드센스 정책 전문
을 게시해 두었습니다.
게시자분들의 경우, 사용자 제작 콘텐츠와 연관되어 있는 경우 정책 준수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날마다 새로 게시되는 수백, 수천의 동영상, 블로그 게시물, 사진, 트윗, 의견 등을 감시하는 일은 실로 만만치 않은 작업입니다. 그럼에도 게시자는 콘텐츠 소유 및 작성 여부를 떠나 자신이 광고 코드를 추가한 모든 사이트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합니다.
이전 블로그 게시물
에서 콘텐츠의 정책 위반을 사전에 방지하고 감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해 드린 적이 있습니다.
정책 위반이 발견될 경우 일반적으로 Google에서는 먼저 정책 위반에 대한 공지를 드립니다. 단,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DMCA) 및 심각한 정책 위반 사례는 예외로 분류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
(영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알림을 받은 경우 게시자는 단순한 대응을 뛰어넘어 위반 콘텐츠를 삭제하고 네트워크 및 사이트에 정책을 준수하는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는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사이트에 부적절한 콘텐츠가 게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을 찾는 데는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Google에서는 되도록 문제를 해결하기에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제공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므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통해 수익을 도모하려는 게시자는 사전에 모든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마련해 두어야 합니다. 게시자에게 그러한 능력이 없음이 확실하거나 위반 사례가 반복되고, 정도가 심해질 경우 Google에서는 해당 계정을 사용중지하게 됩니다. 계정 사용중지와 관련해 이의제기 절차가 있지만, Google은 광고주와 게시자 모두가 서로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파트너쉽을 구축하고자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Google은 사이트 품질을 최고의 수준으로 유지하고, 성인 콘텐츠, 형식적인 콘텐츠 및 정책에 위배될 수 있는 모든 콘텐츠를 방지하고자 하는 게시자의 노력에 항상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광고주, 게시자 및 사용자 모두가 광고 환경의 정직성을 신뢰할 수 있을 때 그 결실은 모두에게 돌아가게 됩니다.
애드센스 정책 팀 Hannah Schlesinger
작성
카테고리 별
기타
10주년 기획
게임용 애드센스
게재위치
계정 업데이트
고객지원 프로그램
광고 검토
광고 미리보기
광고 심사 센터
광고 입찰 방식
광고 허용 및 차단
구글
구글 플러스
구글신제품
구글애드센스
국가 보고서
국제
근하신년
금요 소셜 소식
기타
네이티브
네이티브 광고
동영상
링크 단위
맞춤 검색 엔진
맞춤채널
멀티스크린 전략
모바일
무효클릭
문의하기
박스
브랜드 캠페인
블로그
비즈니스 동향
사례연구
새 인터페이스
새해복많이받으세요
새해인사
설문조사
성공 사례
성공사례
소셜 미디어
수신 설정
수익화
수입/보고서
스마트 가격 정책
실적 보고서
애드센스
애드센스 계정
애드센스 기능
애드센스 성공사례
애드센스 정책
애드센스 행사
애드센스 Office Hour
애애드센스 기능
연락처 정보
온라인 게임
온라인광고시장
월드컵
월요 모바일 소식
웹 엘레멘트
웹로그 분석
웹마스터 가이드라인
이메일 수신
이벤트 보고서
이벤트 추적
이용약관
이용약관 변경
인피드 광고
일치하는 콘텐츠 광고
자동광고
전자상거래
정책
정책의 달
지급
진실과 오해
최적화
추천사항
콘텐츠 내 자동삽입 광고
콘텐츠 호스팅용 애드센스
크롤링
퍼블리셔
프로그램 정책
프프로그램 정책
플래시 게임
A/B 테스트
AdSense
AFG
DFP
dinos
e-commerce
Go Multi-Screen
Goodbye2018
Google
Google 애드센스
Google AdSense
Google plus
Google+
Hello2019
pubtalk
seo
YouTube
YouTube 웹로그 분석
지난 기사 목록
2019
1월
2018
10월
9월
2015
8월
5월
4월
3월
2월
2014
12월
11월
10월
9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3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2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1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10
12월
11월
10월
9월
6월
5월
3월
2월
1월
2009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4월
3월
2월
1월
2008
12월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2월
1월
2007
11월
10월
9월
8월
7월
6월
5월
4월
3월
Feed
유용한 링크
Get started with AdSense
Sign in to your account
AdSense Help Center
AdSense Help Forum
유용한 링크
제품 포럼
에 대한 여러분의 피드백을 주세요.
제품 포럼
에 대한 여러분의 피드백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