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애드센스와 AdMob을 함께 이용하기 - 게임 앱의 수익 개선을 위한 새로운 전략
2013/12/19
연말연시가 다가옴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특히 게임 앱의 이용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매년 이맘때면 수백만 대의 휴대기기가 새로 개통되고 수십억 건의 앱 다운로드가 발생합니다. 또한 최근의 AdMob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가 새 스마트폰을 구입할 때 가장 중요시하는 요소가 게임 앱을 다운로드하고 플레이하는 것이라는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이는 개발자에게 특별한 기회를 의미합니다.Read More
연말연시가 다가옴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특히 게임 앱의 이용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매년 이맘때면 수백만 대의 휴대기기가 새로 개통되고 수십억 건의 앱 다운로드가 발생합니다. 또한 최근의 AdMob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가 새 스마트폰을 구입할 때 가장 중요시하는 요소가 게임 앱을 다운로드하고 플레이하는 것이라는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이는 개발자에게 특별한 기회를 의미합니다.
새로운 전략을 이용하면 게임 앱 개발자가 이렇게 연말연시에 앱 사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절호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게임 개발자인 Izumi Artisan은 이 전략을 이용하여 수입을 60% 끌어올렸으며, Izumi가 어떻게 이러한 성과를 달성했는지 오늘 자세한 내용을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1단계) 게임을 위한 전략 가이드를 만들어 웹사이트에 게재
게임 가이드, 전략 매뉴얼 및 공략법을 수록한 페이지는 비법을 익히거나 게임에서 어려운 부분을 쉽게 통과하고 싶은 게이머들이 즐겨 찾는 공간이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수많은 타사 게임 전략 사이트가 생겨나 엄청난 수의 사용자를 불러 모으고 있습니다.
이는 게임 개발자에게 훌륭한 기회가 될 수 있는데, 자신이 개발한 게임에 대한 전략 또는 공략 가이드를 직접 만들어 웹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웹에서 자신만의 가이드를 만들 때 모델로 활용할 수 있는 성공적인 게임 가이드의 예를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게임의 형식에 따라 가이드의 구조와 분량이 달라지므로 여러 개를 찾아본 후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 타사에서 만든 가이드가 있고 게임 사용자의 시선을 끌고자 경쟁하는 상황이라면 '공식' 가이드를 출시해서 다른 가이드와 차별화를 모색하는 방법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2단계) 애드센스를 통해 새로운 웹사이트에서 수익 올리기
온라인에서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이들에게 훌륭한 콘텐츠를 만들어 웹에 게시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입니다. 온라인 콘텐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를 원하는 경우 애드센스를 이용해 웹사이트에 관련성 높은 광고를 게재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를 이용하면 여러 광고주가 게시자의 콘텐츠 옆에 자신의 광고를 게재하기 위해 입찰 경쟁을 벌입니다. 이렇게 해서 게재되는 광고는 정교하게 타겟팅된 것이므로 사이트의 방문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내용일 확률이 높습니다. 애드센스에서는 게시자의 사이트에 게재될 광고가 표시되는 형태와 위치 및 유형을 관리할 수 있는 맞춤설정 옵션은 물론, 특정 주제의 광고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됩니다.
아직 애드센스 게시자가 아니라면 무료 애드센스 계정에 가입하세요.
3단계) AdMob에서 하우스 광고를 사용하여 사용자를 새 웹사이트로 유도
성공적인 웹사이트 구축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 중 하나는 방문자를 유도하는 것입니다. 게임 개발자는 이미 참여도 높은 잠재고객이라고 할 수 있는 게임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렇게 이미 구축해 놓은 잠재고객을 활용하면 새 웹 콘텐츠에 대한 수요를 신속하게 창출할 수 있으며, 단지 이들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기만 하면 됩니다.
이때 AdMob의 하우스 광고 기능을 이용하면 사용자에게 무료로 자신의 프로모션에 대해 알릴 수 있습니다. 새 웹사이트를 위한 '하우스 광고' 프로모션을 만들어 게임의 적절한 위치(예: 홈 화면 또는 게임 플레이가 멈추는 중간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보여 주면 사용자의 이용 만족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쉽게 웹 콘텐츠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AdMob 인터페이스 내에서 직접 하우스 광고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므로 새 버전의 앱을 만들기 위해 수고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 또한 큰 장점입니다.
여기에서 AdMob 계정에 가입하세요. 가입은 무료입니다.
이 전략을 사용하여 연말연시를 맞아 늘어나는 앱 사용량을 최대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이 팁이 도움이 되었거나 함께 나누고 싶은 다른 팁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게시자: Max Sack, 게시자 지원 담당자
*모바일 앱 소비자 설문조사, 2013년 10월 AdMob과 Parks Associates에서 공동 실시
새로운 전략을 이용하면 게임 앱 개발자가 이렇게 연말연시에 앱 사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절호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게임 개발자인 Izumi Artisan은 이 전략을 이용하여 수입을 60% 끌어올렸으며, Izumi가 어떻게 이러한 성과를 달성했는지 오늘 자세한 내용을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1단계) 게임을 위한 전략 가이드를 만들어 웹사이트에 게재
게임 가이드, 전략 매뉴얼 및 공략법을 수록한 페이지는 비법을 익히거나 게임에서 어려운 부분을 쉽게 통과하고 싶은 게이머들이 즐겨 찾는 공간이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수많은 타사 게임 전략 사이트가 생겨나 엄청난 수의 사용자를 불러 모으고 있습니다.
이는 게임 개발자에게 훌륭한 기회가 될 수 있는데, 자신이 개발한 게임에 대한 전략 또는 공략 가이드를 직접 만들어 웹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웹에서 자신만의 가이드를 만들 때 모델로 활용할 수 있는 성공적인 게임 가이드의 예를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게임의 형식에 따라 가이드의 구조와 분량이 달라지므로 여러 개를 찾아본 후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 타사에서 만든 가이드가 있고 게임 사용자의 시선을 끌고자 경쟁하는 상황이라면 '공식' 가이드를 출시해서 다른 가이드와 차별화를 모색하는 방법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2단계) 애드센스를 통해 새로운 웹사이트에서 수익 올리기
온라인에서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이들에게 훌륭한 콘텐츠를 만들어 웹에 게시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입니다. 온라인 콘텐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를 원하는 경우 애드센스를 이용해 웹사이트에 관련성 높은 광고를 게재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를 이용하면 여러 광고주가 게시자의 콘텐츠 옆에 자신의 광고를 게재하기 위해 입찰 경쟁을 벌입니다. 이렇게 해서 게재되는 광고는 정교하게 타겟팅된 것이므로 사이트의 방문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내용일 확률이 높습니다. 애드센스에서는 게시자의 사이트에 게재될 광고가 표시되는 형태와 위치 및 유형을 관리할 수 있는 맞춤설정 옵션은 물론, 특정 주제의 광고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됩니다.
아직 애드센스 게시자가 아니라면 무료 애드센스 계정에 가입하세요.
3단계) AdMob에서 하우스 광고를 사용하여 사용자를 새 웹사이트로 유도
성공적인 웹사이트 구축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 중 하나는 방문자를 유도하는 것입니다. 게임 개발자는 이미 참여도 높은 잠재고객이라고 할 수 있는 게임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렇게 이미 구축해 놓은 잠재고객을 활용하면 새 웹 콘텐츠에 대한 수요를 신속하게 창출할 수 있으며, 단지 이들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기만 하면 됩니다.
이때 AdMob의 하우스 광고 기능을 이용하면 사용자에게 무료로 자신의 프로모션에 대해 알릴 수 있습니다. 새 웹사이트를 위한 '하우스 광고' 프로모션을 만들어 게임의 적절한 위치(예: 홈 화면 또는 게임 플레이가 멈추는 중간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보여 주면 사용자의 이용 만족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쉽게 웹 콘텐츠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AdMob 인터페이스 내에서 직접 하우스 광고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므로 새 버전의 앱을 만들기 위해 수고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 또한 큰 장점입니다.

여기에서 AdMob 계정에 가입하세요. 가입은 무료입니다.
이 전략을 사용하여 연말연시를 맞아 늘어나는 앱 사용량을 최대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이 팁이 도움이 되었거나 함께 나누고 싶은 다른 팁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게시자: Max Sack, 게시자 지원 담당자
*모바일 앱 소비자 설문조사, 2013년 10월 AdMob과 Parks Associates에서 공동 실시